MVP 페디, 신인왕 문동주…2023 KBO 시상식, ‘역시는 역시’ [춘추 현장]

KBO가 11월 27일 ‘2023 신한은행 SOL KBO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날 MVP에는 NC 에릭 페디가, 신인왕에는 한화 문동주가 이름을 올렸다.

2023-11-27     김종원 기자
NC 에이스 페디(사진 왼쪽부터), 한화 영건 파이어볼러 문동주(사진=NC, 한화)

[스포츠춘추=소공동]

‘역시는 역시’, 이변은 없었다. NC 다이노스 에이스 에릭 페디가 2023 KBO리그 MVP를 수상했다. 이어 생애 단 한 번뿐인 신인왕의 영광은 한화 이글스 강속구 우완 문동주에게 돌아갔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1월 27일 오후 2시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2023 신한은행 SOL KBO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시상식에는 올 시즌 최고의 활약을 펼친 MVP와 신인상 주인공 발표와 함께, 올해 신설된 KBO 수비상의 초대 수상자 시상이 열렸다. 또 KBO리그와 퓨처스리그 개인 부문별 1위 선수, 우수심판에 대한 시상도 함께 진행됐다.

페디는 102표(91.9%)를 받아 2위 한화 이글스 내야수 노시환(6표)을 제치고 MVP에 올랐다. 또한 문동주는 투표 결과 85표(76.6%)를 얻어 올해 최고 신인에 이름을 올렸다. 2위는 KIA 타이거즈 좌완 윤영철(15표)이다.


‘트리플크라운’ 석권 NC 페디 “창원은 제2의 고향”

2023 KBO MVP를 수상한 에릭 페디(사진 왼쪽부터), 허구연 KBO 총재(사진=스포츠춘추 김종원 기자)

페디는 올 시즌 30경기에 등판해 20승 6패 35볼넷 209탈삼진 평균자책 2.00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다승·평균자책·탈삼진 3개 부분을 모두 석권하며 이름을 떨쳤다. 참고로 투수 3관왕은 2011년 윤석민(KIA 타이거즈) 이후 KBO리그에서 12년 만에 나온 것.

이뿐만이 아니다. ‘20승-200탈삼진’ 동시 기록은 KBO리그에서도 손꼽히는 맹활약으로 1986년 선동열 이후 37년 만이자, 역대 5번째 대기록이다.

페디는 이날 시상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미 하루 전인 26일 오후 아버지 스콧 페디 씨와 함께 입국한 바 있다. MVP 수상에 앞서 평균자책점상·탈삼진상·승리상·투수 부문 수비상 등을 수상한 페디는 “이렇게 많은 상을 탈 수 있던 건 ‘NC’라는 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많은 이닝을 소화할 수 있던 건 팀 포수들의 도움 덕분”이라며 팀 동료들에게 공을 돌렸다.

그런 페디도 까다로운 타자는 있었다. 바로 SSG 랜더스 최정. 이에 페디는 “최정이 KBO리그 전설인 걸 잘 안다. 수많은 타자가 위협적이었지만, 유독 최정이 타석이 설 때만큼은 상대하는 게 더 어려웠다”고 밝혔다.

그 뒤 MVP 트로피를 들어 올린 페디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너무 기쁘다. KBO리그에 감사드린다. KBO, 그리고 NC라는 팀에 왔기 때문에 이렇게 수상의 영광을 누릴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날 페디는 시상식에 참석해 자리를 빛낸 아버지 스콧 씨를 향해 “오늘 함께해 주셔서 감사하고 이 상은 사실 아버지의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 NC 팀 동료들과 코치진을 언급한 페디는 “동료들이 아니었다면 수상할 수 없었을 것이다. 강인권 감독님, 김수경 코치님께도 정말 많은 도움을 주셨다”고 말했다. 페디는 “마지막으로 창원이라는 도시에 영광을 돌리고 싶다”“이제 내겐 창원이 제2의 고향”이라고 했다.


한국야구 미래로 우뚝 선 문동주 “트로피 무게, 잘 견뎌낼 것”

2023 KBO 신인왕을 수상한 문동주(사진 왼쪽부터), 허구연 KBO 총재(사진=스포츠춘추 김종원 기자)

올해로 데뷔 2년차를 맞이한 문동주는 지난해 1군 30이닝 미만 소화(28.2)로 신인왕 후보 자격을 유지한 바 있다. 올 시즌에는 23경기에 등판해 8승 8패 42볼넷 95탈삼진 평균자책 3.72를 기록했다. 이는 이번 신인상 투수 후보 가운데 최다 승리·탈삼진에 해당한다.

수상 뒤 문동주는 “이 자리에 서니까 지금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트로피가 참 무겁다는 점이다. 이 무게를 잘 견뎌내겠다”고 했다. 이어 최원호 한화 감독부터 카를로스 수베로 전 감독까지 코치진에 공을 돌린 문동주는 “팀에서 신경을 많이 써주셨기 때문에 좋은 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했다.

끝으로 문동주는 “한화 선수의 신인왕 수상은 류현진 선배(2006년) 이후로 17년 만으로 알고 있다. 이 영광을 팬분들께 돌리고 싶다”고 했다. 또 내년 목표로 “팀이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더 열심히 던지겠다”고 힘줘 말했다.

한편 MVP, 신인왕 외에도 이날 진행된 시상은 다음과 같다.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평균자책점상 : 두산 베어스 이원재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승리상 : LG 트윈스 이상영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평균자책점상 : 삼성 라이온즈 최하늘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승리상 : KIA 타이거즈 김현수, 삼성 라이온즈 이승민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타율상, 타점상, 홈런상 : 두산 베어스 홍성호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타율상 : KT 위즈 천성호
퓨처스리그 남부리그 타점상, 홈런상 : KIA 타이거즈 김석환
세이브상 : SSG 랜더스 서진용
홀드상 : KT 위즈 박영현
승률상 : KT 위즈 윌리엄 쿠에바스
평균자책점, 승리, 탈삼진상 : NC 다이노스 에릭 페디
타율상, 안타상 : NC 다이노스 손아섭
타점상, 홈런상 : 한화 이글스 노시환
장타율상 : SSG 랜더스 최정
출루율상, 득점상 : LG 트윈스 홍창기
도루상 : 두산 베어스 정수빈
심판상 : 박근영 심판위원
수비상 : NC 에릭 페디(투수), 두산 양의지(포수), KT 박병호(1루수), 키움 김혜성(2루수), 두산 허경민(3루수), LG 오지환·KIA 박찬호(유격수), SSG 기예르모 에레디아(좌익수), LG 박해민(중견수), LG 홍창기(우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