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후 초대형 계약에 키움 ‘이적료 245억원’ 확보…1년치 운영비 득템 [춘추 이슈]
키움 히어로즈의 메이저리그 포스팅 신화는 계속된다. 이정후가 샌프란시스코와 6년 총액 1억 1,300만 달러 대형 계약을 체결하면서 키움 구단도 245억원의 거액을 가져가게 됐다.
[스포츠춘추]
‘메이저리거’ 이정후의 초대형 계약 성사는 원소속팀 키움 히어로즈에도 큰 경사다. 이번 계약으로 키움은 최소 245억원의 막대한 포스팅비를 챙길 전망이다.
12월 13일 여러 미국 현지 매체는 이정후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6년 1억 1,300만 달러(약 1,482억 원)의 계약에 합의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뉴욕포스트’ 존 헤이먼이 최초 보도했고 이정후 측에서도 계약 사실을 인정했다. 취재 결과 이정후는 6년간 옵션 없이 전액을 보장받는 초특급 대우를 받는다. 또 계약 첫해부터 마이너리그 거부권, 4년 뒤 옵트아웃 권리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정후의 계약으로 원소속팀 키움도 역대 최고 수준의 포스팅비를 가져가게 됐다. 2018년 개정된 한·미 선수계약협정에 따라 포스팅비용은 보장된 계약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MLB 구단이 선수에게 제시한 보장 금액이 2,500만 달러(약 328억원) 이하면 20%, 2,500만 달러에서 5,000만 달러 사이일 땐 2,500만 달러의 20%(500만 달러, 약 66억원)에 2,500만 달러 이상 금액에 대한17.5%(425만 달러, 약 56억원)를 더한다.
전체 보장 금액이 5,000만 달러(656억원)를 초과할 경우엔 2,500만 달러의 20%(500만 달러)와 2500만~5000만 달러의 17.5%(425만 달러)에 5,000만 달러 초과 금액의 15%까지 전부 합해 포스팅 비용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키움 구단은 500만 달러+425만 달러에 5000만 달러 초과금액의 15%인 945만 달러(124억원)까지 합한 1,870만 달러를 가져가게 됐다. 한화로는 약 245억 원에 달하는 거액이다. 이는 프로야구단 한 시즌 운영비에 해당하는 액수다. 참고로 히어로즈 야구단 메인스폰서인 키움증권이 매년 지급하는 스폰서비는 110억원이다.
한편 이정후의 포스팅비는 계약 총액인 1억 1,300만 달러와는 별도로 책정될 예정이다. 샌프란시스코 담당 기자 앤드류 배걸리는 SNS를 통해 “자이언츠가 이정후에게 투자한 1억 1,300만 달러엔 포스팅 수수료가 포함되지 않아, 약 1,900만 달러가 추가된다. 구단은 이정후에게 1억 3,200만 달러를 투자한 셈”이라고 알렸다.
이로써 키움 야구단은 소속 스타의 메이저리그 포스팅 도전 불패 신화를 이어가게 됐다. 키움은 2015년에도 간판타자 박병호가 포스팅을 통해 미네소타 트윈스로 이적하면서 1285만달러(약 141억원)를 챙겼다.
2014년엔 강정호가 포스팅으로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진출하면서 500만 2015달러(약 55억원)를 받았다. 또 2021시즌을 앞두고 샌디에이고와 보장 2800만 달러(370억원)에 계약한 김하성을 통해서는 552만 5000달러(약 73억원)를 가져갔다.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엄청난 적자 기록했던 키움은 김하성의 미국 진출로 73억원을 벌어들이며 ‘흑자 전환’을 이룬 바 있다. 이번 이정후의 포스팅비는 김하성의 3배 이상이 될 전망. 7년간 함께한 구단에 든든한 재정과 미래를 남기고 떠나는 이정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