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팀 부름 받은 K리거 11명, 아시안컵 이전 ‘마지막 오디션’ [춘추 피플]
-2023시즌 K리그, 12월 9일 승강 플레이오프 끝으로 마무리 -2024 아시아축구연맹 아시안컵, 1월 12일 카타르에서 개막 -한국 축구 대표팀, 1960년 제2회 대회 이후 첫 아시안컵 우승 도전 -축구계의 기대, 유럽에서 활약 중인 대표팀 선수가 10명 이상
[스포츠춘추]
12월 9일. K리그가 2023시즌을 마쳤다.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가 마지막 일정이었다.
올 시즌 일정을 마친 K리거는 휴가에 돌입한다.
모두가 휴가를 즐기는 건 아니다. 2024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출전이 유력한 이들은 쉴 틈이 없다. 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2024 아시안컵은 1월 12일 카타르에서 개막한다.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한국은 바레인, 요르단, 말레이시아와 한 조에 속해 있다. 한국은 1월 15일 바레인과의 대결을 시작으로 2024 아시안컵 우승에 도전한다.
‘아시안컵 출전’ K리거, 올겨울 휴식기는 없다
한국 축구 대표팀은 12월 18일 아시안컵 대비 소집훈련에 참가할 16명의 선수를 발표했다.
정승현(29), 설영우(25), 조현우(32·이상 울산 현대), 문선민(31), 김진수(31·전북 현대) 등 11명의 K리거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부름을 받았다.
유럽 리거도 있다. 이재성(31·마인츠), 정우영(24·슈투트가르트), 황인범(27·츠르베나 즈베즈다), 조규성(25·FC 미트윌란) 등이다. 소속팀이 12월 말부터 겨울 휴식기에 접어드는 선수들이다. 이들은 실내 피트니스 센터에서 몸 만들기에 주력할 계획이다.
대표팀은 내년 1월 2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로 향한다. 대표팀은 아부다비에서 최정예 훈련을 시작한다. 6일엔 2024 아시안컵 전 마지막 평가전을 치른다. 카타르엔 10일 입성한다.
대표팀이 아시안컵 정상에 오른 건 1960년 한국에서 열렸던 제2회 대회가 마지막이다. 대표팀은 2024 아시안컵 우승에 도전한다.
축구계도 대표팀이 아시안컵 우승컵을 들어 올릴 적기로 본다. 그 요인 중 하나가 유럽 리거다. 11월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 예선 대표팀 명단에서 11명이 유럽 리거였다. 손흥민(31·토트넘 홋스퍼), 이강인(22·파리 생제르맹), 황희찬(27·울버햄프턴 원더러스), 김민재(27·바이에른 뮌헨) 등이다.
박용우(30·알 아인), 김승규(33·알샤밥) 등 중동에서 활약하는 이도 있다. 아시안컵에 나설 26명 중 절반 이상이 국외에서 활약할 것이다.
깜짝 발탁은 없다. 16명의 소집 명단에서도 나타났다. 축구계는 올 시즌 K리그1 득점왕 주민규(33·울산)의 발탁을 기대했지만 클린스만 감독은 뽑지 않았다.
주민규의 강점은 골 결정력이다. 축구계는 조규성, 오현규(22·셀틱 FC), 손흥민, 황희찬 등 유럽에서 활약 중인 이의 골 결정력이 더 빼어나다고 본다. A매치는 물론 대표팀 소집 경험 조차 없다는 것도 주민규가 뽑히지 않은 이유로 꼽힌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은 9월부터 변화를 줄이고 팀을 만들어가는 데 주력했다.
대표팀은 2024 아시안컵 우승컵을 들어 올릴 수 있을까. 어느 때보다 많은 유럽 리거와 K리거의 조화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