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BO리그 평균 연봉 1억 6천만원 돌파, 역대 최고치...SSG 김광현 '30억' 연봉킹 등극 [춘추 이슈]
사상 처음 평균 연봉 1억 6천만원 넘어, SSG 유일하게 팀 평균 2억원 초과
[스포츠춘추]
2025 KBO 리그 등록 선수들의 평균 연봉이 1억 6천만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KBO가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시즌 KBO 리그 소속 선수(신인, 외국인 선수 제외) 519명의 평균 연봉은 1억 6,07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1억 5,495만원보다 3.7% 상승한 금액이다.
특히 SSG 랜더스 김광현이 연봉 30억원을 받게 되면서 KBO 리그 '연봉킹'에 올랐다. 김광현은 2024년 연봉 10억원에서 무려 20억원이 인상되며 등록 선수 중 가장 높은 인상액을 기록했다. 이는 기존 19년차 최고 연봉이었던 2019년 이대호(롯데), 2024년 류현진(한화)의 25억원 기록도 경신한 수치다.
구단이 제출한 등록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봉 공동 2위는 20억원을 기록한 삼성 구자욱과 KT 고영표, 한화 류현진으로 나타났다. 이 중 구자욱은 야수 중 최고 연봉을 기록했다. 투수 중에서는 김광현, 고영표, 류현진이 가장 높은 연봉 상위 3명으로 집계됐고, 야수는 구자욱에 이어 17억원을 기록한 SSG 최정, 16억원을 기록한 두산 양의지가 상위 3명이 됐다.
2024 KBO 정규시즌 MVP를 차지한 KIA 김도영은 지난해 대비 가장 높은 연봉 인상률을 기록했다. 김도영은 1억원에서 5억원으로 400% 인상되며 2025년 최고 인상률을 기록했고, 동시에 2020년 이정후(키움)가 세운 4년차 최고 연봉 3억 9,000만원도 갱신했다. 김도영의 400% 인상률은 FA와 비FA 다년 계약을 제외하면 2020년 하재훈(SK)의 455.6%, 2021년 소형준(KT)의 418.5%에 이은 세 번째로 높은 인상률이다.
2024 KBO 신인상을 수상한 두산 김택연은 연봉 1억 4,000만원으로 2021년 KT 소형준이 기록한 2년차 최고 연봉과 타이를 이뤘다. 소형준도 당시 직전 시즌 KBO 신인상을 수상한 바 있다.
KT 강백호는 연봉 7억원으로 2024년 김혜성(키움)의 6억 5,000만원을 넘어 8년차 최고 연봉을 기록했으며, 시즌을 앞두고 FA 계약을 체결한 SSG 최정은 연봉 17억원으로 21년차 최고 연봉 기록을 세웠다. KBO 리그 24년 차로 올해 등록된 선수 중 가장 긴 경력을 자랑하는 KIA 최형우도 연차별 연봉 기록을 경신했다. 최형우는 10억원의 연봉을 기록하며 2017년 이호준(NC)의 7억 5,000만원 기록을 넘어섰다.
구단별로 살펴보면, SSG가 선수단 연봉 총액 및 평균 연봉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SSG는 평균 연봉이 지난해 대비 30.3% 증가하며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고, 총액 117억 2,600만원으로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100억원을 넘겼다. 평균 연봉 역시 2억 2,125만원으로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2억원을 넘겼다.
삼성은 23.4% 상승된 총액 99억 4,200만원(평균 1억 8,411만원)을 기록하며 SSG 다음으로 높은 연봉 지출을 보였다. 롯데가 3.4% 인상률로 총액 94억 6,600만원(평균 1억 7,530만원), KIA가 25.5% 인상률을 기록하며 총액 94억 2,300만원(평균 1억 7,779만원)을 기록해 세 팀이 90억대 연봉 총액을 기록했다.
외국인 선수 중에서는 지난 시즌 KBO 리그에 복귀해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KT 로하스가 180만 달러(약 25억 2,000만원)의 연봉으로 외국인 선수 연봉(계약금 포함) 1위에 올랐다. 이어 2024 시즌 KIA의 우승을 이끈 네일과 SSG의 에레디아가 총액 160만 달러(약 22억 4,000만원)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등록된 30명의 외국인 선수 중 미국 국적이 20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이어서 베네수엘라 5명, 도미니카 공화국 2명, 아이티, 쿠바, 파나마 국적의 선수가 각각 1명씩 포함됐다.
2025년 KBO 리그에서 최고령 선수는 42세 6개월 16일의 삼성 오승환이며, 최연소 선수는 18세 1개월 19일의 키움 김서준으로 나타났다(소속선수 등록 마감일 1월 31일 기준). 지난해 KBO 리그 최장신 선수였던 삼성 레예스와 함께 한화의 새로운 외국인 투수 폰세가 198cm로 2025년 최장신 선수로 등록됐고, 최단신 선수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63cm로 등록된 삼성 김성윤, 김지찬이다.
올해 등록된 519명의 선수 중 연봉 5억원 이상 선수는 55명으로 전체의 10.6%를 차지했으며,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선수는 196명(37.8%), 5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선수는 158명(30.4%), 5천만원 미만 선수는 110명(21.2%)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