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7일부터 대만 타오위안에서 열리는 '2025 타오위안 아시아 프로야구 교류전'에 참가한다. (사진=KT)
KT가 7일부터 대만 타오위안에서 열리는 '2025 타오위안 아시아 프로야구 교류전'에 참가한다. (사진=KT)

[더게이트]

KT 위즈가 타이완으로 날아가 한국과 타이완, 일본 3개국의 야구 문화 교류전에 합류한다.

이강철 KT 감독은 6일 타이완 타오위안의 모나크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2025 타오위안 아시아 프로야구 교류전'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이 감독은 "따자 하오. 안녕하세요. 곰방와"라며 3개 국어로 인사말을 건네는 위트를 보여줬다.

타오위안시의 초청으로 열린 이번 행사엔 KT를 포함해 타이완프로야구(CPBL) 라쿠텐 몽키스, 일본프로야구(NPB)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참가한다. 교류전은 오는 7일부터 3일간 라쿠텐 타오위안 야구장에서 펼쳐지며, 7일 KT와 골든이글스, 8일 골든이글스와 몽키스, 9일 KT와 몽키스가 맞붙는다.

KT 이강철 감독이 '2025 타오위안 아시아 프로야구 교류전' 기자회견에 참석해 소감을 밝혔다. (사진=KT)
KT 이강철 감독이 '2025 타오위안 아시아 프로야구 교류전' 기자회견에 참석해 소감을 밝혔다. (사진=KT)

이강철 감독은 "1980년대에 국가대표로 타이완에 온 적이 있다"며 인연을 추억한 뒤 "올해 타이완시리즈 우승 팀인 몽키스에 축하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감독은 "이번 교류전엔 한일전도, 한국과 타이완전도 열리는 셈"이라며 "준비 잘해서 좋은 경기 보여드리겠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타오위안을 연고로 둔 몽키스는 올해 타이완시리즈에서 중신 브라더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기자회견엔 마키노 고키 사장과 후루쿠보 겐지 감독, 외야수 허핀스롱이 참석했다. 후루쿠보 감독은 "비교적 젊은 선수들의 경기이니 젊음과 생기를 느낄 수 있었으면 한다"며 "3개국의 야구가 어떻게 다르고, 어떤 특징을 띄는지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교류전에는 KT위즈를 포함해 CPBL 라쿠텐 몽키스, NPB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참여한다. (사진=KT)
이번 교류전에는 KT위즈를 포함해 CPBL 라쿠텐 몽키스, NPB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참여한다. (사진=KT)

골든이글스에선 모리이 마사유키 구단 사장과 미키 하지메 감독, 타이완 출신의 우완 투수 쑹자하오와 샤오치, 내야수 양바이샹이 참석했다. 미키 감독은 "우린 일본 도호쿠 지역의 미야기현을 연고로 둔 구단이다. 2005년 창단해 2013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번 교류전을 통해 우리의 매력과 열정을 느끼게 해드리겠다"고 덧붙였다.

KT 장준원은 "일본 와카야마에서 마무리캠프를 치르다 이곳에 왔다. 캠프 도중 실전을 치를 수 있다는 건 좋은 일"이라며 "타이완과 일본 라쿠텐 구단에서 다쓰미 료스케 선수를 비롯해 좋은 선수들이 많이 나온다고 들었다. 캠프에서 연습한 걸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손동현은 "해외 팀과 교류전을 갖는 게 쉽지 않은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

[더게이트(THE GATE)]가 ‘진실의 문, 시대의 문’을 엽니다.

2016년 [엠스플뉴스]로 출발하여 2021년 [스포츠춘추]로 거듭난 뒤 스포츠춘추는 스포츠 현장의 진실을 꿰뚫는 사실 보도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독자들의 신뢰를 쌓고자 노력해왔습니다.

특히 스포츠춘추는 단순 경기 결과를 넘어, 스포츠를 둘러싼 구조적 문제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헤치는 탐사보도, 그리고 끈질긴 교차 검증을 통한 저널리즘을 지향해왔습니다.

이러한 탐사보도의 철학을 더욱 공고히 하고, 스포츠 영역을 넘어 더 깊은 정보와 더 넓은 진실을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스포츠춘추가 [더게이트(THE GATE]라는 새 이름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더게이트는 ‘진실로 들어가는 문, 시대를 여는 문’이라는 제호의 무게를 깨달아 탐사보도의 본령을 굳건히 지키겠습니다.

공정하고 책임 있는 언론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더게이트’의 새로운 여정에 독자 여러분의 깊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더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