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리즈 우승 세리머니하는 LG 트윈스. (사진=더게이트 배지헌 기자)
한국시리즈 우승 세리머니하는 LG 트윈스. (사진=더게이트 배지헌 기자)

[더게이트]

역대급 흥행 속에 막을 내린 2025 KBO리그 포스트시즌, 시청률 지표도 그 열기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KBO는 지난 6일 포스트시즌 시청률 지표를 발표했는데 "평균 6.89%로 6.12%를 기록했던 2024년 대비 12.5% 상승했다"고 전했다.

KBO는 시청률 상승 요인으로 1200만 관중을 달성한 리그 자체에 흥행에 더해, 16경기 모두 지상파에서 중계된 점과 접전이 반복되는 경기의 화제성을 꼽았다. 가장 시청률이 높았던 경기는 삼성 라이온즈와 한화 이글스의 플레이오프 5차전으로, 시청률 10.26%에 시청자 수 254만 5807명을 기록했다. 

플레이오프 5차전 3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으로 활약했던 문현빈. (사진=한화)
플레이오프 5차전 3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으로 활약했던 문현빈. (사진=한화)

해당 경기는 정규시즌을 4위로 마친 뒤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에서 SSG 랜더스를 꺾고 플레이오프를 5차전까지 끌고 온 삼성 라이온즈와 19년만 한국시리즈 진출을 노리는 한화 이글스의 맞대결로 화제를 모았다. 시청률 2위는 LG 트윈스와 한화 이글스의 한국시리즈 4차전이었는데, 시청률 10.04%에 시청자 수는 244만 7259명이었다. 이날 경기는 9회 LG가 6득점을 올리며 대역전극을 작성, 우승에 다가가는 결정적인 경기가 됐다.

시리즈가 거듭될수록 평균 시청률도 급격하게 뛰었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시청률 4.24%, 준플레이오프는 4.89%였지만, 플레이오프부터 7.74%로 크게 뛰었다. 한국시리즈에서는 평균 8.69%를 기록하며 가장 많은 팬들의 관심이 쏠렸다.

2025 포스트시즌 누적 시청자 수. (표=KBO)
2025 포스트시즌 누적 시청자 수. (표=KBO)

합산 누적 시청자 수는 와일드카드 결정전 약 209만 명, 준플레이오프 약 475만 명, 플레이오프 약 932만 명, 한국시리즈 약 1070만 명을 기록했다. 시청자 200만 명 이상의 경기가 6차례에 달했고, 전체 누적 시청자 수는 2687만 3049명으로 대한민국 인구 절반을 넘어섰다. 

평균 시청자 수는 전국 기준 167만 9566명으로 130만 8785명을 기록했던 2024년 대비 28% 증가해, 이번 가을야구에 집중됐던 팬들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

[더게이트(THE GATE)]가 ‘진실의 문, 시대의 문’을 엽니다.

2016년 [엠스플뉴스]로 출발하여 2021년 [스포츠춘추]로 거듭난 뒤 스포츠춘추는 스포츠 현장의 진실을 꿰뚫는 사실 보도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독자들의 신뢰를 쌓고자 노력해왔습니다.

특히 스포츠춘추는 단순 경기 결과를 넘어, 스포츠를 둘러싼 구조적 문제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헤치는 탐사보도, 그리고 끈질긴 교차 검증을 통한 저널리즘을 지향해왔습니다.

이러한 탐사보도의 철학을 더욱 공고히 하고, 스포츠 영역을 넘어 더 깊은 정보와 더 넓은 진실을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스포츠춘추가 [더게이트(THE GATE]라는 새 이름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더게이트는 ‘진실로 들어가는 문, 시대를 여는 문’이라는 제호의 무게를 깨달아 탐사보도의 본령을 굳건히 지키겠습니다.

공정하고 책임 있는 언론으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더게이트’의 새로운 여정에 독자 여러분의 깊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더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