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의 미래를 책임질 권한과 책임이 있는 대한축구협회(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한국 축구의 미래를 책임질 권한과 책임이 있는 대한축구협회(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스포츠춘추]

손흥민(31·토트넘 홋스퍼)은 한국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꼽힌다. 이강인(22·파리 생제르맹)은 손흥민의 뒤를 이어 한국 축구를 책임질 재능으로 평가받는다.

이 둘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스포츠춘추 취재 내용을 종합하면 상황은 이랬다. 이강인은 2023 카타르 아시안컵 준결승전 요르단과의 대결을 하루 앞두고 저녁을 빨리 먹었다. 이강인은 식사 후 동료들과 탁구를 치러갔다.

탁구장은 식당 바로 옆에 있었다. 탁구장이 시끌벅적했다. 식사 중이던 대표팀 주장 손흥민이 탁구장으로 가서 한마디 했다. 이강인이 손흥민의 말에 반박했다. 감정이 격해진 둘 사이 갈등이 있었다. 

한 국가대표 출신 지도자는 “세계 모든 축구팀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면서 “특히나 손흥민, 이강인은 빅리그 빅클럽에서 핵심으로 활약하는 슈퍼스타 아닌가”라고 말했다. 

“하나 된 팀을 만드는 게 감독의 역할이다. 그런데 코칭스태프가 제 역할을 잘해도 선수들 사이에 갈등이 생길 때가 있다. 선수 시절을 돌아보면 정말 별거 아닌 거로 동료와 티격태격한 적이 많다. 가장 이해가 안 되는 건 대표팀 내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주 빠르게 전 세계로 알려졌다는 거다. 이강인이 비판을 넘어 비난에 시달린다. 22살 어린 선수다. 대한축구협회(KFA)가 나서야 하지만 지켜보고만 있다.” 앞의 지도자의 말이다. 


초점은 클린스만 경질, KFA는 손흥민·이강인 보호엔 관심 없다

한국 축구 대표팀 주장 손흥민(사진 맨 왼쪽)(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한국 축구 대표팀 주장 손흥민(사진 맨 왼쪽)(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국가대표 출신 한 축구 원로는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사과한 것으로 안다”“그 사과가 진심이란 걸 행동으로 보여주면 아무 문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과 같은 생각을 전했다. 

“이번 대표팀에 포함된 선수만 26명이었다. 지원 스태프는 35명으로 역대 최다였다. 이들이 원 팀으로 뭉치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나 많은 인원이 긴 시간 함께하다 보면 예민해질 때가 있다. 사소한 장난이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다. 흔한 일이다. 이강인이 잘못한 건 맞다. 그런데 대회 기간 중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건 아니다. 이런 문제는 대표팀 내에서 풀어야 한다.” 

대표팀 내 갈등이 세상에 알려진 건 2월 14일이었다. 영국 매체 더 선은 이날 “손흥민이 한국 축구 대표팀의 아시안컵 탈락 전날 팀 동료와 충돌해 손가락을 다쳤다”고 보도했다. 

2월 14일 영국 매체 더 선에서 보도한 한국 축구 대표팀 갈등 관련 기사(사진=더 선 캡처)
2월 14일 영국 매체 더 선에서 보도한 한국 축구 대표팀 갈등 관련 기사(사진=더 선 캡처)

KFA는 재빨리 사실을 인정했다.

“KFA의 재빠른 인정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란 게 축구계 관계자의 공통된 생각이다.

이강인은 이날 밤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사과문을 올렸다. 

K리그의 한 관계자는 “그 자리에 있던 이가 사실을 말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KFA가 일찍이 인정했다. 이에 반박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강인이 범법을 한 게 아니지 않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게 아니다. 국내·외 프로팀의 사례를 봐도 이런 문제는 ‘확인해 봐야 한다’고 한 뒤 내부에서 해결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했다.

KFA는 선수들이 축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여기엔 선수를 보호해줘야 할 의무도 있다.

KFA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지켜줘야 할 선수를 비난의 중심에 서게 만든 뒤 관망한다. 

저작권자 © 더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