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전에 승리를 거둔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 사진 | 대한배구협회
한일전에 승리를 거둔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 사진 | 대한배구협회

 

[스포츠춘추]

여자배구 한일전 편파판정 논란, 실제 징계 처분까지 이어질까.

8월 16일 경남 진주체육관에서 열린 '2025 코리아인비테이셔널 진주국제여자배구대회' 4차전 한일전에서 발생한 '홈콜' 논란이 일파만파다. 문체부 산하 스포츠윤리센터에 정식 신고까지 접수된 가운데, 실제 징계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당시 페르난도 모랄레스 감독이 이끄는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은 일본을 세트스코어 3-2로 꺾으며 4년 만에 한일전 승리를 거뒀다. 통산 150번째 한일 맞대결이자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승리였지만, 경기 직후부터 노골적인 편파판정 논란에 휩싸였다.

경기 후 국내 배구팬들의 반응은 비판 일색이었다. 과거 한일전 승리 시 환호가 이어졌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비난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부끄러운 승리", "차라리 지는 게 낫다"는 댓글이 온라인을 뒤덮었고, 일본 팬들에게 사과하는 글까지 등장했다. 비디오 판독 시스템 없이 한국 심판진으로만 구성된 대회 운영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논란의 핵심은 5세트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오심들이다. 배구팬 사이에서는 5세트에서만 4건의 중대한 오심이 모두 일본 측에 불리하게 적용됐고, 15점제 5세트에서 총 8점의 희비가 판정에 따라 갈렸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상적인 공격을 오버넷으로 선언한 사례, 한국 서브가 엔드라인을 넘어섰음에도 인으로 선언한 사례, 일본 서브가 라인에 걸쳤음에도 아웃으로 선언한 사례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논란이 확산되면서 문체부 산하 스포츠윤리센터에 신고까지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취재를 종합하면 한 배구팬이 "광복 80주년 기념 행사에서 발생한 편파 판정은 국제 스포츠의 공정성을 훼손하고 국가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한체육회에 심판 징계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대한체육회는 해당 민원을 문체부로 이송했고, 문체부는 스포츠윤리센터에 사건을 배당했다. 체육계에 따르면 그동안 스포츠윤리센터는 주로 선수 인권침해나 기관 비위를 다뤄왔으며, 경기 중 심판 판정을 둘러싼 조사는 드문 사례다.

이게 '인'이라니...(사진=중계방송 화면 캡쳐)
이게 '인'이라니...(사진=중계방송 화면 캡쳐)

윤리센터 조사가 착수된 만큼 이제 관심은 실제 징계 처분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쏠린다. 이번 사안은 여론의 폭발성이 남다르다는 점에서 결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지상파 뉴스까지 등장할 정도로 여론의 관심이 높고 비판 여론이 압도적이다.

심판 오심을 넘어 '승부조작급'이란 비판까지 나오는 가운데, 명확한 영상 증거가 존재하는 만큼 조사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체육단체 관계자는 "심판 출신 등으로 조사관을 배정해 영상부터 확인하고, 조사를 확대하는 것은 가능해 보인다"는 의견을 들려줬다.

조사 결과 문제가 발견되면 스포츠윤리센터는 해당 기관 관련자에 대한 징계를 권고할 수 있다. 문체부 장관은 대한배구협회에 징계 처분을 요구할 권한을 갖는다. 징계 수위는 견책부터 제명까지 다양하지만, 국제경기 편파판정이라는 점에서 상당 수준의 처분이 예상된다.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르면 체육단체는 '정당한 사유' 없이 징계 요구를 거부할 수 없으며, 불응 시 최대 2년간 재정지원이 제한된다. 외부 압력이나 의도적 편파판정이 확인될 경우 수사기관 고발도 가능하다.

대한배구협회는 현재까지 이번 논란에 대한 명확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스포츠춘추 질의에 "공식 답변은 내부 논의를 거쳐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스포츠윤리센터 신고 건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광복 80주년 기념 경기에서 터진 편파판정 논란이 스포츠윤리센터 조사를 거쳐 실제 징계 처분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더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