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은 5월 28일 8회 빅이닝에 성공하며 역전승을 거뒀다(사진=키움)
키움은 5월 28일 8회 빅이닝에 성공하며 역전승을 거뒀다(사진=키움)

[스포츠춘추]

간만에 기지개를 켰다. 부진에 헤매던 키움 히어로즈 타선이 반등에 나섰다.

키움의 5월은 그리 좋지 않았다. 한 달간 9승 15패로 승패 마진 -6을 거두며 리그 8위(이하 29일 기준)에 머물렀다.

올 시즌 리그 최다 퀄리티스타트(30회)를 기록 중인 키움 선발진이 5월에도 제 역할을 해냈다. 지난 24경기에서 퀄리티스타트를 16차례 달성했다. 다만, 선발승은 단 6번에 그친 키움이다.

이에 키움 타선이 부진 원인으로 손꼽혔다. 5월 팀 OPS(출루율+장타율) 0.635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한 것. 타격감이 속절없이 추락했던 건 아니다. 가장 최근 고척 롯데 자이언츠 3연전이 대표적이다.

키움은 27~28일 두 경기 연속 후반 빅이닝(9회 5득점, 8회 5득점)에 성공했다. 비록 루징 시리즈에 그쳤지만, 희망을 엿본 시리즈였다. 하지만, 그런 키움엔 쌓일 대로 쌓인 문제가 하나 더 있다.

“선취 득점이 필요하다.” 지난 주말 롯데 3연전 내내 키움 사령탑 홍원기 감독이 힘줘 말한 대목이다.


키움의 5월, 선취 득점(8경기)보단 선취 실점(16경기)이 많았다

5월 29일 기준, 키움의 올 시즌 기간별 타선 기록(통계=스탯티즈)
5월 29일 기준, 키움의 올 시즌 기간별 타선 기록(통계=스탯티즈)

키움 타선의 당면 과제는 지독한 ‘초반 부진’이다. 정확히는 경기 초부터 분위기를 내어주고 시작한다. 지난 5월 24경기 가운데, 키움은 선취 득점(8경기)보단 선취 실점(16경기)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단 점이다. 키움 타선은 4월 개막 뒤 1~6회 기록이 점점 안 좋아지고 있다. 최근 일주일 동안 6회 이전까지 1득점에 그쳤다. 키움 팬들이 늘 앞선 상대를 쫓아가는 느낌이 든 건 기분 탓이 아니었다.

파업을 선언했던 타선이 7회부턴 달라진다. 5월 한 달간 키움 타선은 7회 이후 48득점에 성공했다. 이는 해당 기간 리그에서 가장 많다. 최근 빅이닝 두 경기(27~28일 롯데전)를 제외해도, 37득점으로 리그 최다 기록은 마찬가지다.

뒤늦게 추격하는 패턴이 꼭 나쁜 건 아니다. 다만, 결과가 좋아야 해당하는 얘기다. 지난 5월 키움이 역전승에 성공한 건 4번에 불과했다. 선발진의 연이은 호투가 빛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잦았다.

이에 키움 홍원기 감독은 “선발진이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게 제 역할들을 모두 해주고 있는데, 승수를 못 챙기고 있는 건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상대 선발 투수들은 너무 쉽게 6~7회까지 던지더라. 최근 경기 초반을 풀어가는 데 있어 분명히 엇박자가 있다. 우리는 그런 면을 개선해야 한다.” 홍 감독의 진단이다.

틀린 말이 아니다. 실제로 5월 키움을 상대로 등판한 선발 투수들은 평균 5.6이닝을 던져 평균자책 2.41로 상당히 좋은 모습을 선보였다.


“누구 한 명 문제가 아닌 타선 전체의 문제”…’타순 변화’로 활로 찾는다

키움 홍원기 감독(사진=스포츠춘추 김종원 기자)
키움 홍원기 감독(사진=스포츠춘추 김종원 기자)

일부에선 키움 중심 타자들 역할에 의문을 제기한다.

최근 반등을 노리고 있는 핵심 타자 이정후, 팀 4번을 맡고 있는 에디슨 러셀이 그 예시다. 둘이 합쳐, 5월 1~6회 득점권(32타석) 안타가 4개다. 타율로 따지면 0.154로 부진했다.

지난 4월 말 삼성 라이온즈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데려온 내야수 이원석도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5월 1~6회 득점권 타율이 0.130에 그친 것.

키움 홍원기 감독의 생각은 달랐다. 홍 감독은 “타선 전반적인 문제”라며 “어느 선수 한 명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밝혔다.

이어 홍 감독은 “특히나 최근 팀 타선 부진으로 이정후에게 모든 시선이 쏠리는 건 몹시 가혹하다”고 설명했다.

“어떻게든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 선수들의 타구 스피드와 타구질 등이 여러모로 좋은데, 득점권 기회에서 유독 조급해하는 건 감독인 내가 먼저 조바심을 내니까 그런 듯싶다. 나부터 먼저 달라지겠다.” 홍 감독의 다짐이다.

키움은 최근 ‘타순 변화’로 해결책을 찾고 있다. 그 가운데, 상위 타선의 변화가 돋보인다. 5월 초 리드오프로 이동해 타격감을 찾던 이정후가 다시 3번 타자로 복귀했다.

이에 홍 감독은 “이정후가 그간 반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이젠 본연의 익숙한 위치인 3번으로 돌아가 지난해 좋았던 모습을 되찾길 바란다”고 했다.

홍 감독은 2021년 부임 뒤 줄곧 타선 ‘연결성’을 강조했다. 중심 타선으로 ‘연결’하는 역할은 단연 2번 타자의 몫이다. 키움이 올 시즌 내내 2번 타자를 따로 고정하지 않은 까닭이다. 매 경기 컨디션이 좋은 타자가 2번으로 나선다.

홍 감독은 키움의 2번 타자를 향해 “우린 ‘강한 2번’보단 ‘연결고리 2번’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일주일, 키움은 2번 타순에 김혜성, 이원석, 임지열, 김휘집 등 다양한 선수를 투입하는 중이다.

이처럼, 키움은 활로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그간 타격 부진에 시달린 키움이지만, 지난 주말 빅이닝을 두 차례 연속 성공하며 일단 급한 불을 끈 셈이다.

남은 과제인 ‘경기 초반’ 빈공을 해결할 수 있을까. 키움 타선이 보여줄 변화에 많은 이목이 쏠린다.

저작권자 © 더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