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의하는 조성환 대행(사진=중계방송 화면 캡쳐)
항의하는 조성환 대행(사진=중계방송 화면 캡쳐)

 

[스포츠춘추]

두산 베어스가 26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발생한 비디오 판독 논란을 구단 차원에서 문제 삼기로 했다. 조성환 감독대행이 퇴장을 각오하고 항의했던 파울 판정에 대해 KBO에 공식 항의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두산 관계자는 27일 스포츠춘추에 "오늘 중으로 공문을 보낼 예정"이라며 "현장보다는 구단 내부에서 논의해 결정했다. 판정 번복을 요구한다기보다는 구체적인 근거를 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논란의 발단은 6회말 두산 공격에서 시작됐다. 0대 3으로 뒤진 상황에서 선두타자 오명진이 원태인의 체인지업을 우익선상으로 쳐냈다. 1루심은 파울을 선언했지만, 중계 화면에는 공이 떨어진 지점에서 하얀 가루가 튀는 장면이 포착됐다.

두산이 비디오 판독을 요청했지만 1분 12초의 검토 끝에 '원심 유지' 결론이 나왔다. 조성환 감독대행은 곧바로 우익수 쪽 파울라인까지 뛰어가 심판진에게 강력 항의했다. 비디오 판독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면 자동 퇴장되는 규정을 알면서도 항의했다는 점에서 의도적 퇴장으로 해석됐다.

감독대행의 퇴장 불사 항의에도 불구하고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 다시 타석에 선 오명진은 삼진으로 물러났고, 삼성은 7회초 박승규와 르윈 디아즈의 연속 홈런으로 승부를 완전히 끝냈다. 두산은 8회말 김인태의 홈런 등으로 2점을 얻었지만 2대 6으로 패하며 4연패에 빠졌다.

파울 판정이 나온 타구(사진=중계방송 화면 캡쳐)
파울 판정이 나온 타구(사진=중계방송 화면 캡쳐)

두산 측은 비디오 판독 시스템 자체에 문제를 제기할 방침이다. 두산 관계자는 "비디오 판독에 사용되는 카메라 기술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며 "현재 설치된 카메라 대수나 기술만으로 판독에 한계가 있지 않느냐는 게 우리 구단의 문제 의식"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KBO는 판독 결과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KBO 관계자는 "공이 라인에 맞아서 흰 가루가 튀는 게 아니라, 파울이라도 공이 바닥에 떨어지는 충격으로 튀는 경우가 있다. 어제가 그런 경우"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KBO 관계자는 공의 구조적 특성을 들어 설명했다. "라인선상에서 우중간일 경우 공의 왼쪽 끝이 닿은 것처럼 보이는데 파울이 되는 경우가 있다. 공은 동그랗기 때문에 실제 땅에 닿는 건 가운데다. 공의 왼쪽이 라인에 닿아 보여도 실제로는 파울인 경우가 있다"고 부연했다.

KBO가 경기 후 홈페이지에 공개한 1분 12초 영상에서도 하얀 가루가 튀는 장면이 나오지만, 비디오 판독 센터는 이를 '파울라인 밖 이물질'로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이 오늘 중 공문을 접수할 예정인 가운데, 조성환 감독대행의 퇴장을 부른 파울 논쟁이 어떤 결론에 이를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현재로서는 KBO가 구단의 요구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저작권자 © 더게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