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춘추]
'바람의 손자' 이정후의 소속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플레이오프 진출이 사실상 물 건너갔다. 현지 매체들은 팀 몰락의 주범으로 코칭스태프의 능력 부족을 신랄하게 지적하고 나섰다.
스포츠 매체 디 애슬레틱의 그랜트 브리스비 기자는 23일(한국시간) 분석 기사에서 "코칭스태프 비판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며 "자이언츠 타자들은 두 가지 시즌만 보내고 있다. 제자리걸음하거나 낭떠러지로 떨어지거나"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자이언츠의 성적은 참담하다. 22일 현재 61승 67패로 내셔널리그 서부 4위에 머물고 있으며, 지구 1위와는 무려 12게임 차이다. 타격 지표는 더욱 심각하다. 팀 득점 515점(메이저리그 30개 팀 중 25위), 팀 홈런 123개(25위), 팀 타율 0.231(28위), 팀 장타율 0.375(27위) 등 모든 면에서 최하위권이다. 팀 내 최고 성적이 맷 채프먼의 장타율 0.423, 엘리엇 라모스의 타율 0.263일 정도다.
브리스비 기자는 팻 버렐, 데이먼 마이너, 오스카 버나드 등 타격 코치진을 직접 언급하며 "이런 상황에서는 당연히 타격 코치들이 의심의 눈길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칭스태프 책임이 아닌 경우를 생각하기 어렵다"며 "대부분 그들 책임인 경우를 생각하기가 훨씬 쉽다"고 꼬집었다.
코칭스태프 비판의 핵심 근거는 명확하다. 자이언츠에 시즌 전 예상을 뛰어넘는 '깜짝 활약' 선수가 단 한 명도 없다는 점이다.
플레이오프 경쟁팀들과 비교하면 차이가 극명하다. 내셔널리그 1위팀 밀워키 브루어스는 앤드류 본이 시즌 전 예상 wRC+(조정 득점창출력) 111에서 실제 163을 기록했고, NL 서부지구 1위 LA 다저스도 윌 스미스(118→156)와 맥스 먼시(119→146) 등이 기대치를 훨씬 웃돌았다.
반면 자이언츠의 유일한 '성공 사례'는 시즌 중 공짜로 주워온 '저니맨' 도미닉 스미스가 예상 87에서 109로 소폭 상승한 것뿐이다. 브리스비 기자는 "아무리 못하는 팀도 보통 기대 이상으로 터지는 선수가 최소 한 명은 나온다"며 "콜로라도 로키스는 형편없지만 헌터 굿맨이 대활약하고, 시카고 화이트삭스도 별로지만 마이크 타우크맨은 잘 치고 있다"고 비교했다.
이정후의 경우 시즌 전 예상 wRC+ 108에서 실제 109를 기록해 예상치와 거의 차이가 없다. 문제는 동료들의 급격한 추락이다.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는 예상 114에서 59로 급추락했고, 패트릭 베일리(90→61), 타일러 피츠제럴드(100→73) 등이 모두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 특히 베일리에 대해서는 지역지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서 "백업 포수 같다"는 혹평까지 나왔다.

브리스비 기자는 "한때 '선수를 더 좋게 만드는 것'은 자이언츠가 가장 잘하는 일이었다"며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와 라몬테 웨이드를 소규모 트레이드로 데려와 키웠고, 데려온 선수들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숨기는 식으로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전 체제의 장점이었던 이런 능력이 이번 시즌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코칭스태프의 역량 부족을 다시 한번 지적했다.
팀을 향한 비판 목소리는 지역 매체도 예외가 아니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베테랑 스포츠 칼럼니스트 브루스 젠킨스는 최근 칼럼에서 자이언츠의 현 상황을 '혼수상태'라고 규정했다. "몇 주 전만 해도 팬들 마음을 사로잡았던 선수들이 이제는 아무것도 주지 못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자이언츠 선수 출신 해설자 마이크 크루코는 "관중석에서 기대감이 돌다가도 곧바로 희망을 포기하는 분위기를 절실히 느낀다"고 전했다. 희망이 사라진 자이언츠, 코칭스태프의 무능함으로 인해 혼수상태에 빠진 거인은 과연 언제 깨어날 수 있을까. 이정후의 고군분투만으로는 부족하다.
